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184)
경제, 금융 (26)
시황, 투자 (3)
리뷰, 감상, 정리 (65)
일상, 생각 (68)
기타 (6)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08. 9. 15. 22:44
ELS(Equity Linked Securities)와 같은 파생상품의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몇 가지 있는데, 일반 사람들이 간과하기 쉬운 변수가 바로 변동성이다. 기초자산의 지수가 50%로 떨어지지 않는다거나 하는 것은 쉽게 눈에 띄지만 변동성 값이 얼마인지는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하는 변동성은 내재변동성(implied volatility)를 말하는데, 시장에 반영된 사람들의 심리수준을 나타낸다. 이 값을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변동성 값을 추정하는데 이 역시 계산방식에 따라서 차이를 보인다.

유로피안 옵션의 경우에 변동성이 높으면 값이 더 비싸다.  ELS의 상품의 경우에는 그 반대이다. 왜냐하면 ELS는 구조적으로 풋옵션 매도 포지션이기 때문이다.

또한, 델타헷징을 통해 파생상품을 복제(replicate)하는 경우에도 헷징을 통해 얻게 되는 수익/손익과 변동성 값은 깊은 관계가 있다. 트레이더가 파생상품을 꾸준히 델타헷징을 하였다고 할 때 얻게되는 수익/손익은 역사적변동성(historical volatility)과 내재변동성(implied volatility)의 차이로 실현된다. 다르게 표현하면 30%의 내재변동성을 가정하고 발행한 파생상품을 트레이더가 헷지하여 복제하였을 때, 실제 역사적 변동성이 40%라면 변동성 제곱의 차이만큼을 추가로 벌게 된다.